강봉균 교수님의 기억단백질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도한 자료입니다.
강봉균 교수님은 기억에 관한 연구로 노벨상을 수상한 에릭 캔델교수의 제자로 이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전문가이십니다.
황운하 기자의 기사 원문 그대로 올립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‘기억 재구성 원리’ 밝혀져
서울대 교수팀 시냅스 해체과정 규명
황운하 기자 ( newuna@kormedi.com )
입력일 : 2008.02.10 19:25 / 수정일 : 2008.02.10 19:25
국내 연구진이 기억이 재구성되는 원리를 세계 처음으로 밝혀냈다.
서울대 생명과학부 기억제어연구단 강봉균 교수팀은 뇌에 저장된 기억을 떠올릴 때 단백질 분해과정을 통해 기억을 저장한 시냅스가 허물어지면서 기억이 재구성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.
이 연구결과는 세계적 과학잡지 《사이언스(science)》 온라인판에 8일 게재됐다.
시냅스(synapse)는 신경 세포의 신경 돌기 끝부분이 다른 신경 세포와 접합하는 부위다. 시냅스를 통해 한 신경 세포에 있는 신호가 다른 신경 세포에 전달된다.
사람의 뇌는 새로운 경험이나 학습을 할 때 시냅스들이 단단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강화과정을 통해 우리는 배우고 경험한 것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게 된다.
신경과학자들은 이러한 시냅스 강화과정 중에 단백질 합성 억제제를 투입해 단백질 합성을 막았더니 시냅스 강화가 일어나지 않아 기억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낸 바 있다. 신경과학자들은 시냅스 강화 과정에서 단백질 합성이 필수적이라는 점에 주목해 연구를 진행해 왔다.
강봉균 교수팀은 기억을 떠올릴 때 기억을 부호화하며 강화됐던 시냅스가 특수단백질분해과정(ubiquitin-proteasome system)을 통해 허물어지고 결국 기억을 재구성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는 것을 밝혔다. 기억을 떠올릴 때 시냅스를 구성하는 신경 세포들은 특수단백질분해과정을 사용해 시냅스의 단백질 분해를 증가시키고 이러한 증가가 결국 기억을 부호화하는 시냅스를 허물어뜨려 기억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.
강 교수는 “특수단백질분해과정의 활성을 억제하면 기억이 재구성될 수 있는 상태로 가지 못하기 때문에 기억의 변형과 소멸이 불가능했다”며 “이번 연구결과는 기억을 유지하거나 변형하는 과정에도 응용해 의학적으로 쓰일 가능성을 제시했다”고 말했다.
'**** 학습학이란 ? **** > 학습학 관련 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억에 관하여 잘 정리한 사이언스 타임즈 박미용 기자님의 글 (0) | 2009.06.12 |
---|---|
기억할 때 새로운 두뇌세포가 형성된다. (0) | 2009.06.12 |
기억력을 향상시켜 주는 알약!! (0) | 2009.06.11 |
이정모 교수님의 홈페이지 소개 (0) | 2009.06.08 |
제 2강 '마음기반 학습'의 그림 자료 (0) | 2009.05.14 |